티스토리 뷰



캡슐커피를 올바로 분리 배출하지 못해 환경오염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캡슐 커피란, 가공 및 블렌딩과 로스팅 과정을 거친 원두를 분쇄해 탬핑(tamping) 한 후 진공 포장한 커피이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난 이후, 간편히 내려 먹을 수 있는 캡슐커피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캡슐커피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만큼 재활용이 어려운 캡슐용기의 양도 증가해 환경오염을 가중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캡슐커피 용기의 분리수거 방법과 다 쓴 캡슐용기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캡슐커피 용기, 분리수거 가능할까?
한국소비자원이 주요 21개 캡슐커피 제품의 용기 재질을 확인한 결과 4개 제품은 알루미늄, 17개 제품은 플라스틱이 주된 재질로 이뤄져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캡슐커피 용기를 분리배출하기 위해서는 리드(뚜껑) 부분을 분리하고 본체 내부에 남아있는 커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데, 밀봉된 용기의 구조적 특성상 분리과정이 쉽지 않아 사실상 재활용을 위한 분리배출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최근 1년 이내 캡슐커피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캡슐용기를 재질에 맞게 분리 배출하는 소비자는 42.0%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또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소비자는 41.4%에 달했습니다.
또한 캡슐커피는 재활용 의무대상 포장재 중 분리배출 표시 예외 품목*으로 개별용기에 재활용 도안 및 재질이 표시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소비자가 캡슐용기의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재활용 쓰레기로 배출해도 작은 크기, 알 수 없는 재질 등의 이유로 선별과정에서 일반쓰레기로 버려질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지침」 제6조 분리배출 표시의 적용 예외 2. 내용물의 용량이 30㎖ 또는 30g 이하인 포장재
캡슐커피 용기가 일반쓰레기로 버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캡슐용기의 구조를 분리하기 쉽게 개선하고 다량을 한 번에 모아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캡슐 회수 프로그램

캡슐 수거 프로그램이란, 캡슐커피의 환경오염 문제 개선을 위해 캡슐커피 브랜드 사업자가 자체적으로 다 사용한 캡슐 용기를 회수해 재활용하고 커피 가루는 퇴비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다 사용한 캡슐용기를 회수해 재활용하고, 커피 가루는 퇴비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국내에 유통되는 조사대상 21개 제품 중 캡슐 회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자는 3개 제품을 판매하는 네스프레소가 유일했습니다.
반면 미국, 유럽 등 해외에서는 네스프레소뿐 아니라 네스카페, 일리 등 8개 브랜드의 사업자가 캡슐 회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이 하나 더 있습니다.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네스프레소 캡슐커피를 구입한 290명 중 ‘캡슐 회수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비율은 38.3%(111명)에 불과했고요. 환경부 등이 운영하는 ‘내 손 안의 분리배출’ 앱에서 소량이거나 혼합 재질인 경우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라고 안내하고 있어 현실적으로 캡슐커피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었죠.
이처럼 현재 국내에서는 캡슐커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환경보호에 앞장서는 소비자
2020년 상반기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하루 평균 848t, 전년 대비 약 15.6% 증가했습니다. 이에 많은 소비자가 점차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문제 개선을 위해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특히 캡슐커피 이용자들은 캡슐용기의 재활용 및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제로웨이스트: 제품들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장려하고 폐기물 방지에 초점을 맞춘 원칙을 의미함.
이에 캡슐커피 이용자의 친환경 소비생활,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해 오프너, 템퍼, 리필 캡슐 등 관련 용품도 등장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판매사업자에게 캡슐 회수 프로그램 도입 및 소비자 참여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분리배출 및 재활용이 쉽도록 캡슐용기 개선 등을 권고할 예정입니다.
다 쓴 캡슐 용기 처리 방법



캡슐커피로 인한 환경 오염은 결국 이를 만들어내는 기업의 책임이 조금 더 커 보인다. 캡슐커피가 환경적인 측면에서 자유롭기 위해서는 결국 제품 개발 단계부터 신경 써야 할 것이다. 제품의 포장 용기의 구조를 조금 더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며 캡슐용기의 구조를 분리하기 쉽게 개선해 소비자들이 조금 더 쉽게 재활용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캡슐용기를 버릴 때는 내용물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일정량을 모아 한 번에 재활용 쓰레기로 배출합니다. 또한 캡슐 회수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시길 바랍니다.
가정용 커피메이커 추천 : 밀리타, 필립스
" 커피로 알람을 맞춰서 아침마다 신선한 커피를 마실 수 있다면? " " 핸드밀의 번거로움 없이 그라인더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다면? " 목차 밀리타 커피메이커 아로마프레쉬 필립스 그라인드 앤
coffeeportion.tistory.com
가정용 커피 머신, 전자동 vs 반자동 차이점 / 추천 / 가격
바야흐로 여름이 절정이다. 시원한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유독 간절한 계절이 찾아왔다. 집이나 사무실에서 한잔의 에스프레소를 얻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테이크아
coffeeportion.tistory.com
'커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페 창업 : 소상공인 경영 교육 지식배움터 지원 신청 방법 (0) | 2023.08.03 |
---|---|
캡슐머신 네스프레소 : 수리 서비스 픽업 신청방법 (0) | 2023.08.01 |
커피 바리스타 자격증, 종류, 시험 비용 (0) | 2023.07.29 |
가정용 커피메이커 추천 : 밀리타, 필립스 (0) | 2023.07.17 |
지역별 스페셜티 카페 추천(제주도, 망원동, 연희동) 커피 특징 / 메뉴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