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eropress

브루잉 커피는 추출 되는 방식에 따라 여과식과 침출식이 있다. 여과식이란 드리퍼에 종이 필터를 끼워서 오직 커피와 물만을 가지고 중력으로 추출하는 방식이고, 침출식은 물에 커피가루가 충분히 우러날 수 있도록 침출한 뒤 거르는 방식이다. 여과식은 종이필터에 커피 미분과 오일 성분이 모두 걸러져 맛이 깔끔한 반면, 침출식은 맛이 거칠고 캐릭터가 강하다.

 

재미있는 브루잉 추출 도구, Aeropress

에어로프레스는 미국의 Aerobie에서 2005년에 개발한 커피 추출 도구이다. 장난감 회사에서 출발을 했지만, 중간에 이 도구의 인기가 점점 높아져서 커피 도구에 집중하기 위해 이름을 바꿨다고 한다.

에어로프레스는 플런저 / 체임버 / 필터 / 필터 홀더로 구성된 주사기 모양의 커피 도구이다. 체임버에 원두와 뜨거운 물을 부으면 되는 방식으로, 드리퍼가 따로 필요가 없다. 물을 붓고 커피를 우린뒤, 잔에 모양을 뒤집어서 올린뒤 플런저로 강하게 누르는 압력 방식이다.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서 잔에 체임버를 올려서 추출한 뒤, 플런저를 조립해 추출 하는 경우도 있다. 

침출식의 프렌치 프레스를 사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아마 커피 미분의 맛에 아쉬움을 느꼈을 수도 있다. 에어로프레스는 종이필터를 끼워서 압을 가하는 방식으로, 침출식이지만 미분이 거의 없어 맛이 깔끔한 장점이 있다. 원래 에스프레소 추출방식을 가정에서 편하게 또는 휴대용으로 간편화할 용도로써 나온 물건이었지만, 애초에 고온 / 고압을 쓰는 에스프레소를 단순한 기구로 따라하는건 무리였다. 오히려 사용자가 방법을 구축편이다. 요즘엔 에어로프레스를 브루잉 카테고리에 넣어서 대회용으로 사용하니 말이다.

어찌보면 끔찍한 혼종에 가깝다.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압력방식을 택했지만 침출식으로 만들어서 필터로 걸러서 마시는 커피라니. 하지만 재미있다. 커피를 새로운 시선으로 접근하고 소비자에게 추출 방법을 일임한격이니 말이다. 

반응형